/ 세부진료과목

외음부전정염

외음부전정염

 

 

 

 

외음부 전정염 혹은 전정통은 홍반을 제외한 다른 이상 징후 없이 외음부 전정에 불편감이나 과민반응을 특징으로 합니다.

 

 

분류 (Classification)

원발성 외음부 전정염

  • 성관계 시작 시 질입구에 참을 수 없는 통증.
  • 전체의 20%정도를 차지합니다.

속발성 외음부 전정염

  • 성관계 이후에 나타나는 질입구 성교 통증

 

진단기준(Diagnostic Criteria)

외음부 전정염의 진단적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외음부 전정에 접촉이나 삽입 시 극심한 통증
  • 외음부 전정 안쪽에 관찰되는 국소적인 압통
  • 홍반을 제외한 이상 징후가 없어야 함

 

병인론(Etiology)

과도하게 높은 소변 속의 수산(oxalate)의 농도나 알러지 반응이 원인이 됩니다. 전정과 방광 점막 그리고 요도는 같은 발생학적 기원이기에 간질성 방광염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연구에서는 캔디다나 성병균과의 연관성은 적은 편이고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이라 합니다.

80%정도에서는 골반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나타내는 과긴장성골반저기능장애와의 연관성이 제일 높다고 합니다.

통증은 평상시에는 없거나 미미한 편이고 대부분 성관계, 탐폰, 꽉 끼는 속옷, 자전거 타기 등과 연관이 있습니다. 1/3 정도는 전정에 타는 듯한 통증을 느끼고 3/4 정도는 과도한 질 분비물을 갖고 있고 60% 정도에서는 만성적인 배뇨증상이 있다고 합니다.

 

검사(Examination)

전반전 반드시 생식기의 자극이나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이나 곰팡이균 그리고 바이러스 감염이 없음을 세균검사(PCR)를 통해 규명하고,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성교통을 유발하는 다른 산부인과적인 질환이 없음을 먼저 입증해야 합니다.

Cotton-ball or Q-tip test

  • 면봉을 이용하여 질 입구 12시 방향(음핵과 묘도사이)에서 시작합니다.
  • 시계 방향으로 압통을 평가하면 보통 4시 및 8시 방향에서 통증을 제일 많이 느낍니다.
  • 반드시 캔디다성 질염, 적은 여성호르몬, 음부신경통, 피부염, 강직 처녀막, 질경련, 골반근육긴장통과는 감별해야 합니다.

 

 

치료(TREATMENT)

암이나 정신과적인 문제가 없음을 확실히 하고 외음부에 적절한 관리에 들어가야 합니다.

피해야 할 것

  • 진한 향이나 염색약, 화약물질이 포함된 비누나 목욕제품
  • 자전거 타기
  • 수산 함유 식품

도움이 되는 것

  • 좌욕
  • 자연 성분의 윤활제 (올리브 오일, astroglide)
  • 얼음 찜질(통증이 심할 때)
  • 순면 속옷을 타이트하지 않게 착용

국소마취제(Topical Anesthetics)

하루 세번 또는 성관계 20분 전에 도포

  • Xylocaine (젤리타입 2%, 연고타입 5%)
  • 복합마취제 (prilocaine, lodocaine, tetracaine: 3.5%/ 2.5%/ 1%)
  • Capsaicin : 처음 시작 시 통증이 있습니다.

국소주사요법(Local Injection)

  • methyl prednisolone + lodocaine cloridrate
  • Interferona : 100만 units, 1주일에 3회씩, 4주간

동통유발점주사치료(Trigger Point Injection)

  • Anti-inflammatory med. + Lidocaine - weekly, 4-12wks: 완치가 가능합니다.

약물치료(Oral Medication)

신경 기원 통증이기에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을 주로 처방합니다.

  • 삼환계 항우울제(Amitriptyline, Desipramine) : 10mg에서 150mg까지 증량, 최소 4주간 복용, 3개월
  • 항전간제(Gabapentin) : 삼환계 항우울제 실패시 사용하며 100mg에서 3600mg까지 증량 가능(2일 마다 100mg씩 증량)

수술치료(Surgical Excision)

  • Woodruff procedure : 성공율 85%
  • Vestibulectomy (전정제거술) : 2차 수술법

전자기장 바이오피드백(Electromagnetic Biofeedback)

  • 주당 2-3회, 8주에서 12주 동안